ETF 사는 법
투자 운용사 종목명 이해
최근 주식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성장성뿐만 아니라 안정성까지 고려한 가치투자를 하려니 삼성전자부터 카카오, 네이버 등 1주당 가치가 수 십만 원대입니다. 많은 투자금을 투입하지 않고 주식시장에 투자자로서 참여하고픈데 말이죠.
이런 차원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금융투자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ETF, 상장지수펀드입니다.
ETF란 무엇인지, 일반 인덱스펀드와 다른 면들을 장점과 단점으로 나눠 살펴 보며 포스팅한 적 있습니다. 아래 참고!
ETF는 인덱스펀드와 차별화를 뒀지만 인덱스펀드의 일종이어서 수수료도 있고 시장의 지수를 따라가는 것이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썩 알맞지 않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ETF 상품 종류가 다양해졌고 높은 주가에 비해 적은 투자금으로 관심종목에 투자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관심을 모으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해외 ETF 사는 법에 대한 포스팅도 준비중입니다만 먼저 국내 ETF 사는 법에서 운용사와 종목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로 합니다.
네이버 금융 > 국내 증시에서 ETF 섹터를 클릭해 보면 수백 개의 ETF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ETF의 상품명을 보면 영문과 이름으로 구성돼 있고 투자대상에 따라 업종, 테마, 원자재, 파생 등 분야가 나눠져 있습니다.
이때 ETF는 KODEX니 TIGER니 KINDEX니 영문명으로 시작합니다. 이것은 자산운용사의 브랜드명을 뜻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14개의 운용사가 있어 14개의 ETF브랜드가 있습니다. #ETF 사는 법
KODEX 삼성자산운용, TIGER 미래에셋자산운용, KOSEF 우리자산운용, KINDEX 한국투자신탁운용, KBStar KB자산운용, TREX 유리자산운용, ARIRANG 한화자산운용, HIT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마이다스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FIRST 동양자산운용, GIANT 대신자산운용, GREAT KTB자산운용, POWER 교보악사자산운용, PIONEER KDB산은자산운용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를 예를 들면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따라가는 펀드를 운영함이라고 읽을 수 있습니다.
KODEX 200은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KOSPI 200를 추적하는 펀드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각 운용사의 ETF 운용보수가 다르고 투자종목과 투자비율도 다른 데다 추종 대상지수를 따라가기 때문에 수익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F를 잘 사는 법은 운용사를 고르는 것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투자대상이 비슷한 ETF의 경우에는 수수료가 적은 운용사의 ETF를 선택하는 것이 장기투자 시 유리할 수 있으니 꼼꼼히 살펴야 할 것입니다.
ETF 선택하는 법이자 사는 법을 살펴봤습니다. 향후에는 ETF 상품들을 종목별로 자세히 살펴볼 계획입니다.
상단 오른쪽 구독하기를 누르시면 앞으로도 계속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TIGER KRX BBIG K-뉴딜 ETF 구성종목 실적개선 전망
'스마트정보 > 금융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2일 달러 엔 환율 시세 그래프 (0) | 2021.03.14 |
---|---|
인베스팅닷컴 미 국채 수익률 비트코인 실시간 시세보기 (0) | 2021.03.03 |
2월 26일 달러 환율 시세 그래프 (0) | 2021.02.28 |
미국주식 사는 법-한국과 다른 점 7가지 (0) | 2021.02.23 |
2월 19일 달러 환율 시세 그래프 Weekly (0) | 2021.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