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드센스 CPC와 CPM
$0.01 수익의 의미
구글 애드센스가 어느 순간부터 매일 $0.01, 어떤 날은 $0.03도 주는 날이 있었습니다.
덕분에 하루도 수익이 없는 날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궁금해졌습니다. 누군가 광고를 클릭하면 이 보다는 훨씬 높은 수익이 잡히는데 $0.01의 의미는 도대체 무엇일까?
혹시 무효트래픽에 의한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걱정이 돼 고민까지 했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보고서 안에서 광고 입찰유형을 살펴보다 $0.01의 비밀을 알게 됐습니다.
구글도 CPC광고 외 CPM광고에 대한 수익도 인정해 주고 있음이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온라인 광고 모델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1. CPC (Cost per click)
광고 클릭 횟수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 구글 애드센스 광고 수익의 의미가 거의 여기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수익성을 높이려면 CPC의 개념은 꼭 알고 있어야합니다.
2. CPM (Cost per mile)
광고 노출 횟수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 광고단가/광고 노출 X 1,000. 1000회의 광고가 노출될 때마다 $0.01가 수익으로 잡혔던 의미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블로그 CPM은 아주 낮은 비중이지만 광고 노출만으로도 수익을 잡아주긴 한다는 점에서 블로그 유지의 이유쯤은 될 것 같습니다.
3. CPA (Cost per action)
온라인 광고로 유입된 소비자가 특정 행동(action), 회원가입이나 다운로드, 구입 등의 결과를 행했을 때 건바이건으로 비용이 지불되는 방식. 결과물을 만들어내야한다는 점이 어렵기때문에 CPC보다 광고수익이 큰 편입니다.
이상으로 CPC와 CPM의 광고 수익 차이를 살펴봤습니다.
유투브의 경우 CPM은 국가마다 다르고 한국이 좀 낮은 편이라고 합니다. 그래도 몇 달러는 된다고 하는데 이에 비해 블로그에 대한 구글 애드센스 CPM은 $0.01이라니 낮아도 너무 낮다는 느낌이기도 합니다.
결국 블로그 글의 질과양, 광고배치 및 선정 등의 연구로 CPC 입찰가를 높여야한다는 것입니다.
'스마트정보 > IT 애드센스 티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승인후 수익 지급 위해 할 일 : CCPA설정 (0) | 2020.11.01 |
---|---|
구글 애드센스와 애널리틱스 필수 용어 정리 (0) | 2020.10.26 |
구글 애드센스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추가 조건 (0) | 2020.10.25 |
애드센스 수익인증과 검색트래픽 이탈률 낮추기 (0) | 2020.10.22 |
티스토리 애드센스 수익형 블로그 만들기 (0) | 2020.10.15 |
댓글